본문 바로가기

육아기록

육아 첫 1년 동안 내가 하지 않은 것

반응형

 

분명히 영겁같은 시간이었는데, 갑자기 1년이 훅 지나갔다.

 

아이가 한 살이 되었다. 한국에서는 이미 두 살이라지만 만 나이를 쓰는 프랑스에서는 이제 꼭 1년을 채워 한 살이 되었다. 그 어디에서도 경력으로 인정해주지 않는 육아 경력 1년. 어떤 일을 했어도 1년이면 이제 좀 손에 익고 익숙해질 법한 기간. 희로애락이 빽빽하게 담겨있었지만, 지나고 나니 “돌끝맘”이라는 한마디로 납작하게 압축되는 그런 기간. 이 1년을 어떤 방식으로든 한 번 정리는 해야겠는데, 내가 1년 동안 뭘 어떻게 했나 미주알고주알 다 적자니 정말 재미없는 대서사시가 될 것 같아, 반대로 1년 동안 내가 뭘 “안 했나”를 한 번 적어보려 한다. (아이 키우느라, 코로나 때문에 뭘 “못했나”는 또 다른 대서사시가 될 것 같아서 패스) 



베이비 위스퍼를 읽고...

 

아이를 안아서 혹은 업어서 재우기

 

원더윅스*를 제외하고 나는 단 한 번도 아이를 안거나 업어서 재우지 않았다. 아이가 태어난 바로 그 날부터 잠은 낮잠과 밤잠 모두 가리지 않고 침대에 눕혀서 재웠다. 아이가 졸려 하는 신호를 놓치지 않고, 신호를 포착하자마자 간단한 수면 의식**을 한 다음 아이가 깨어있을 때 침대에 눕혀두고 조용히 방을 나왔다. 1년이 지난 지금 아직도 공갈 젖꼭지를 물고 잠들기는 하지만, 우리의 도움 없이도 스스로 잘 잠드는 아이가 되었다. 아이는 한 번 잠들면 공갈 젖꼭지가 빠져도 깨지 않고, 새벽에 원하는 경우 자기 스스로 쪽쪽이를 찾아서 물거나 목이 마르면 빨대컵으로 물을 마시고 다시 잠이 든다. 이렇게 11시간 12시간 깨지 않고 통잠을 잔다.

 

*원더윅스란? 아이가 정신적으로 급 성장하는 기간

**수면 의식이란? 아이를 재우기 전에 같은 순서로 하는 일련의 행동. 내 경우 스와들업 같은 잠옷을 입히고, 아기방 창문 셔터를 닫아 어둡게 하고, 자장가를 부르면서 아기를 잠시 가만히 안고 있는 것을 취침 의식으로 진행했다.

 

 

아기를 재웠다는 표현보다는 아기를 눕혔다는 표현을 더 자주 씁니다.

 

 

아이 달랠 때 흔들어주기

 

아이가 자다가 깨서 크게 울거나, 혹은 뭔가 불편한 점이 있어서 울 때는 절대 오래 울게 놔두지 않고 안아서 달래주었다. 대신 절대 둥가둥가 흔들어주거나 안고 돌아다니지 않았다. 이건 생각보다 쉽지 않은데, 아기를 품에 안으면 몸이 무게를 분산하기 위해서인지 나도 모르게 좌우 반동을 주며 움직이게 되기 때문이다. 그렇게 하고 싶은 욕구를 눌러 참으며 코어에 힘을 꽉 주고 미동 없이 서 있거나, 힘들 때는 아이를 안고 소파나 침대에 가만히 앉아 아이를 달래주었다. 아이를 달랠 때 이것저것 여러 가지 기교를 부리다 보면 점점 아이를 달래기 위해 더 큰 자극이 필요해질 것 같아서 남편에게도 조심시킨 부분이다.

 

➡️수면교육 관련 글 더 보기

 

먹여서 재우는 것/먹는 중에 잠들게 두는 것

 

아기를 기다리는 사람들에게 딱 하나만 당부한다면, 먹놀잠!

 

비슷한 이유로 아기가 새벽에 자다가 깨서 우는 경우, 아기를 먹여서 재우지 않았다. 또한 수유 중에 아기가 잠들게 두지 않았다. 이것은 아기가 먹는 것과 잠을 연결하지 못하도록 한 것이다. (많이 들어봤을 바로 그 먹놀잠. 태어난 그날부터 지금까지 정말 철저하게 지키고 있다!) 물론 새벽에 아이가 정말 배고파서 깨는 경우도 있다. 단순히 자다가 깨서 다시 잠들지 못한 것인지, 정말 배고파서 깬 것인지를 잘 관찰한 다음에 정말 배고파서 깨는 경우에는 밤잠을 재우기 전에 충분히 먹는 양을 보충해주어서 자다가 배고파서 깨는 일이 없도록 하였다.

 


몬테소리 교육 철학에 따라...

 

아이의 움직임을 인위적으로 보조하거나 제한하는 기구를 사용하는 것

 

 

012
순서대로 베이비뵨 바운서, 치코 보행기, 이븐플로 쏘서

 

어쩌면 주변에서 왜 그렇게까지 힘들게 하느냐고 제일 많이 지적(?)을 받은 부분 중 하나인 것 같다. 주로 아이가 아직 스스로 움직일 수 없을 때 앉혀두는 바운서, 그리고 아이가 조금씩 다리에 힘이 생기기 시작할 때 앉혀두는 쏘서 혹은 점퍼루, ‘걷는 연습’용으로 태우는 보행기, 그리고 아이가 기거나 걷기 시작할 때 안전을 위해 공간을 제한해주는 울타리 등이 내가 쓰지 않은 기구들이다. 몬테소리 교육을 접하면서 아이의 대근육 발달을 위해 인위적인 보조나 제한을 하지 않기로 하니, 유아차나 카시트, 이유식용 하이체어 외에는 아이를 위한 기구가 하나도 없었던 것 같다. 바운서에 앉혀 두는 대신 매트에 눕혀두고 모빌 같은 장난감을 탐색하게 하거나, 정 아이를 매트에 두기 불편할 때는 역류 방지쿠션을 이용하기도 했지만, 최대한 터미 타임을 자주 시키려고 노력했다. 아이에게 걷는 연습이 필요할 때부터는 카트를 밀면서 걷도록 유도했고, 울타리를 치는 대신 주변 환경을 안전하게 만들어서 아이가 못 가는 곳 없이 여기저기 다 탐색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정말 카트로서의 기능에만 충실한 단순한 디자인의 카트를 샀다. 바퀴가 미끄러지지 않고 튼튼하고 아이의 키에 딱 맞아 만족스러웠던 구매. 

 

 

이렇게 키운 아이의 대근육 발달은 그래도 평균보다 약간 빠른 정도인 것 같다. 

 

베베말랑 bébé malin 대근육 발달 기록


102
 (3개월 중반) 뒤집기  

182 (6개월 초반) 되집기

200 (6개월 중반) 네발기기

207 (6개월 후반) 혼자 앉기

229 (7개월 중반) 잡고 서기

232 (7개월 후반) 잡고 섰다가 앉기

288 (9개월 중반) 카트 밀며 걷기

314 (10개월 중반) 땅 짚고 스스로 일어나기, 도움 없이 걷기

 


아마도 프랑스식 육아의 영향...

 

분유 탈 때 생수 끓여서 식혔다 다시 데워 주는 것

 

 

아이를 낳기 전에 가장 걱정 되었던 것 중 하나. 한국에서 아이를 키우는 내 주변 사람들은 정말 열이면 열 모두가 생수를 끓여서 식힌 다음, 다시 분유를 태울때 아이가 먹기 좋은 따뜻한 온도로 데워준다. 프랑스에서 아이를 키우는 한국 엄마들 중에도 이렇게 하는 사람들이 없지는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 프랑스에서는 분유통에 “상온 상태의 생수로” 분유를 태우라고 적혀있기도 하고, 의사가 특별히 물을 끓이거나 데워서 주는 것을 권장하지도 않는다. 그으래? 나한테 편한거라면 뭐든지 가리지 않고 취사선택해야지. 그래서 나는 아이가 신생아일때부터 상온의 생수로 분유를 태워먹였고, 아이는 한 번도 탈없이 1년 동안 상온의 분유를 먹으며 행복하게 자랐다. 프랑스에서는 사실 심지어 아이 분유를 만들기에 적합한 수원으로 생수 외에 수돗물을 권하기도 한다. 하지만 내 속의 한국인이 그것만은 안된다고 거부하였다.

 

젖병을 따로 씻거나 소독하는 것

 

프랑스에서 내가 써본 젖병 브랜드는 모두 첫 번째 사용 전에만 한 번 소독을 권장하고, 그 이후에는 손 설거지를 하거나 심지어 식기세척기에 넣어도 된다고 한다. 거기다 프랑스에서는 젖병을 아기 전용 세제가 아닌 일반 세제로 설거지해도 무방하다고 보는듯하다. 나는 귀찮은 것은 딱 질색인 게으른 엄마이기 때문에 신생아 시기 동안만 손 설거지를 하고, 그 이후부터 젖병은 매일 밤 식기세척기에 넣고 돌렸다.

 

아이 기저귀 갈아줄때마다 물로 씻기

 

 

아기 기저귀 채우는 법도 몰랐던 왕초보 엄마는 병원에 입원해있는 약 2박 3일 동안 병원의 전문가들에게 모든 것을 배워 나오리라 마음먹었다. 그리고 대망의 첫 번째 기저귀 갈기 수업! 아기 전문가 선생님은 물티슈로 아기 엉덩이가 깨끗할 때까지 닦아주고 다시 기저귀를 채워주었다. 한국에서는 응가 할 때마다 세면대로 데려가서 엉덩이를 씻어주기도 한다는데, 물티슈로만 해도 되는 건가?! 야호! 게으른 엄마의 귓가에는 댕댕댕 종소리가 울렸다. 평소에는 순한 성분의 아기 물티슈를 이용해서 엉덩이를 잘 닦아주고, 혹시나 아기 엉덩이에 약간의 붉은 기가 보인다면 리니멍 Liniment 이라고 하는 보습제를 발라주었다. 리니멍은 강한 알칼리성을 띠는 성분과 올리브오일로 이루어진 자연 보습제인데, 대소변으로 산성이 된 아기의 피부를 중성으로 만드는 데 도움이 된다고 한다. 

 

아기와 한 침대에서 같이 자는 것

 

아기가 신생아 시절, 혹시나 아기가 우리 침대에 있나 싶어 자다가 소스라치게 놀라며 깨기도 할 정도로 걱정을 많이 했다. 한 번도 같이 재운적이 없는데도!

 

 

잠버릇이 고약한 남편 때문에라도 아이와 한 침대에서 자는 것은 단 한 번도 생각해보지 않은 일. 출산 전에는 아기 침대를 안방에 두는 것도 조금 고민이 됐지만, 막상 아기가 태어나고 내 눈앞에 보이자 이 핏덩이를 혼자 자기 방에서 재우는 건 아무래도 못 할 짓 같아 안방에 아기 침대를 두게 되었다. 평소 잠들면 업어가도 모르는 수준으로 깊게 자는 나인데, 이 망할 놈의 호르몬. 아기가 자면서 내는 작은 소리에도 눈이 번쩍번쩍 떠져 한 번에 1-2시간 이상을 잘 수가 없었다. 힘들기는 남편도 마찬가지. 24시간 동안 최소 8번을 먹는 아기와 같은 방에 자면서 출근해서 일하자니 죽을 맛이었겠지. 우리는 고심 끝에 생후 128일에 분리 수면을 시도했다. 128일 동안 아기 없는 아기방이었던 방에, 아기 침대를 다시 들이고 아기와 엄마 아빠 모두 꿀잠을 잤다. 아기도 알게 모르게 우리의 뒤척이는 소리 때문에 자는 데 방해를 받았는지도 모르겠다. 그날 이후로 아기는 다시 안방으로 돌아오지 않고, 자기 방에서 잘 자고 있다. (이 글을 쓰고 있는 지금 이 순간에도...☺️)


내가 지난 1년 동안 안 한 것들을 돌이켜보니, 나를 편하게 해주는 것들이 반, 오히려 더 귀찮게 되는 것들이 반인 것 같기도 하다. 하지만 그 순간에는 나를 더 귀찮게 만드는 일들도 결과적으로는 아이에게 좋은 습관과 루틴을 심어주고, 독립성을 키워주는 것들이 대부분이라 장기적으로 봤을 때는 나를 편하게 해주는 것들이라고 생각한다. 실제로 아이가 완벽히 생활 리듬을 체화하고, 나의 도움 없이 자유롭게 움직이기 시작한 6개월을 기점으로 나는 육아가 너무 쉬워졌기 때문이다. (해당 의견은 언제든지 바뀔 수 있음😅) 

 

프랑스 육아 관련 글 더 보기

 

이미지 출처:

People vector created by vectorsjungle - www.freepik.com 

Background photo created by rawpixel.com - www.freepik.com

Baby vector created by grmarc - www.freepik.com

Background vector created by macrovector_official - www.freepik.com

 

반응형